OOO 변호사
OOO 검사
OOO 법학박사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문일답] 소송대리인으로 비변호사를 선임할 수 있나요?
이하의 '소송'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법률분쟁은 '법원'을 통한 '소송'(신청사건 포함)이외에도 행정심판, 노동위원회 사건, 특허심판 사건 등이 있고 여기서는 변호사 외의 전문자격자의 대리가 가능한 영역이 있기 때문이다. 소송 이외의 분쟁해결 방법에서 대리인은 각각의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소송대리인은 변호사가 원칙이다(민사소송법 제87조). 다만 소가 1억원 이하 사건 등의 일정한 1심 단독사건에서는 고용관계 또는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을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할 수 있다. 이 경우 법원의 허가를 득해야 한다(민사소송법 제88조).
1) 1심 합의부 사건, 항소심 사건, 상고 사건
비변호사를 선임할 수 없고 변호사를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해야 한다.
2) 1심 단독 사건 중 아래의 사건
이 경우에 한정하여 비변호사를 법원의 허가를 받아서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할 수 있다.
1. 「민사 및 가사소송의 사물관할에 관한 규칙」 제2조 단서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건
2. 제1호 사건 외의 사건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건 가. 소송목적의 값이 소제기 당시 또는 청구취지 확장(변론의 병합 포함) 당시 1억원을 넘는 소송사건 나. 가목의 사건을 본안으로 하는 신청사건 및 이에 부수하는 신청사건(다만, 가압류ㆍ다툼의 대상에 관한 가처분 신청사건 및 이에 부수하는 신청사건은 제외한다) |
3) 1심 단독 사건 중 2)가 아닌 사건
비변호사를 선임할 수 없고 변호사를 소송대리인으로 선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