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차이점은?
현재의 주된 에너지원은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인데, 이런 고전적인 에너지원이 아닌 새로운 에너지원이 신재생에너지이다. 한편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법률인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약칭 신재생에너지법)'은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구분하고 있다. 이 차이는 무엇인가?
신에너지는 화석연료 등과 같은 기존의 에너지원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의미하고, 재생에너지는 태양, 풍력, 수력 등과 같이 자연발생적인 에너지로서 지속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화석 연료에 비하여 환경오염이 덜한 에너지를 말한다.
신재생에너지법 제2조는에 의하면 신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ㆍ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가스화액화 에너지의 3가지가 있다.
반면 재생에너지는 '햇빛ㆍ물ㆍ지열(地熱)ㆍ강수(降水)ㆍ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폐기물에너지의 7가지가 있다. 재생에너지가 아닌 것으로는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가 있다.
신재생에너지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3. 3. 23., 2013. 7. 30., 2014. 1. 21., 2019. 1. 15.> 1. “신에너지”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ㆍ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수소에너지 나. 연료전지 다. 석탄을 액화ㆍ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重質殘渣油)를 가스화한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라. 그 밖에 석유ㆍ석탄ㆍ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 2. “재생에너지”란 햇빛ㆍ물ㆍ지열(地熱)ㆍ강수(降水)ㆍ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태양에너지 나. 풍력 다. 수력 라. 해양에너지 마. 지열에너지 바. 생물자원을 변환시켜 이용하는 바이오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사. 폐기물에너지(비재생폐기물로부터 생산된 것은 제외한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및 범위에 해당하는 에너지 아. 그 밖에 석유ㆍ석탄ㆍ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 |
신에너지 중 수소에너지는, 수소를 연소시키거나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연료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원을 의미하고, 석탄 가스화액화 에너지란 석탄 등을 고온 또는 고압에서 액화 또는 가스화시켜 생산하는 전기 에너지원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