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사
  • 형사소송
  • 244. 비상상고란? 비상상고의 사유는?
  • 244.1. 재심과 비상상고의 비교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244.1.

재심과 비상상고의 비교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재심과 비상상고의 구별

구 분재 심비상상고

의의 및

공통점

1. 의 의

① 재심이란 유죄의 확정판결에 대하여 중대한 사실오인이나 그 오인의 의심이 있는 경우에 판결을 받은 자의 이익을 위하여 판결의 부당함을 시정하는 비상구제절차이며,

② 비상상고란 확정판결에 대하여 그 심판의 법령위반을 이유로 허용되는 비상구제절차를 말한다.

2. 공통점

① 양자 모두 기능상 확정판결에 대한 비상구제수단으로 신청이 이유 있는 때에는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배제된다.

② 절차상 양자 모두 신청에는 기간의 제한이 없고, 청구는 반드시 서면에 의해야 한다는 점과 청구의 취하가 인정된다는 점에서 같다.

목적재심은 형사소송에 있어서 법적 안정성과 정의의 이념이 충돌하는 경우에 정의(피고인 구제)를 위하여 판결의 확정력을 제거하는 경우이다.비상상고는 원칙적으로 법령의 해석ㆍ적용의 통일(법적 안정성)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이다.
대상유죄의 확정판결모든 확정판결
청구사유원판결의 사실오인심판의 법령위반

청구

권자

검사

유죄의 선고를 받은 자

유죄의 선고를 받은 자의 법정대리인

유죄의 선고를 받은 자가 사망하거나

심신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그 배우, 직계친족 또는 형제자매

검찰총장
관 할원판결을 한 법원대법원
청구의 효력재심을 청구한 검사가 형의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정지에 관한 규정이 없다.

의견

청취 및 참여권

재심의 경우 청구에 대한 결정을 함에 있어 당사자의 의견을 들어야 하며 심리에 변호인의 참여권이 보장된다.이러한 규정이 없다.
심판상의 차이

① 재심은 재심개시절차와 재심심판절차라는 2단계의 구조를 취한다.

② 재심의 판결은 당연히 피고인 등에게 효력이 미친다.

③ 재심의 판결에는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이 적용된다.

 

 

 

 

 

 

 

① 비상상고의 신청이 이유있는 때에는 원판결 또는 원판결의 소송절차를 파기함에 그치고 예외적으로만 파기자판이 허용된다

② 비상상고의 파기판결은 원칙적으로 피고인에게 그 효력이 미치지 아니하고 파기자판의 경우에 한해서 그 판결의 효력이 피고인에게 미친다.

 

③ 비상상고의 경우에는 불이익 변경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다만 파기자판에 의해서 피고인에게 형을 선고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적용여지가 있다.)

판결의 공시재심에서는 피고인의 명예회복 등을 위해 무죄 선고시 공시제도를 두고 있다.비상상고의 경우는 파기자판에 의해서 무죄판결이 선고되는 경우에도 공시하지 아니한다(비상상고의 본래 목적이 피고인 구제가 아님을 상기해 볼 것).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11월 18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