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체계론 - ‘범죄’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범죄에 대한 관점의 다양한 구성방법’이라고 이해될 수 있는 범죄체계론은 특히 불법론과 착오론에 그 이론적 핵심이 모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개개의 범죄체계론의 구조와 그 내용 및 각 범죄체계가 가지고 있는 불법의 구조를 알아본다.
■ 범죄론체계의 구조
고전적 범죄체계 | 신고전적 범죄체계 | 목적적 범죄체계 | 합일태적 범죄체계 | |
행위 | 인과적 행위론 → 행위를 외적ㆍ자연적 과정으로 이해(자연적 행위개념)
| 인과적 행위론 → 행위의 의미와 가치판단을 중시(가치개념의 도입)
| 목적적 행위론 → 목적성과 규범논리를 그 방법적 기초로 삼음
| 사회적 행위론 → 목적성과 인과성을 포괄하는 사회적 행위개념을 기초로 삼음 |
구성 요건 | ① 객관적ㆍ기술적 요소만으로 구성 ② 주관적 요소는 책임으로, 규범적 요소는 위법성으로 | 규범적 요소와 주관적 요소 발견(ex. 불법영득의사)
| ① 고의를 일반적인 구성요건요소로 파악 ② 과실도 객관적 주의의무위반으로 구성요건요소로 이해 | 고의를 일반적인 주관적 구성요건요소로 파악한 목적적 행위론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
|
위법성 | ①형식적 위법성개념 → 규범위반 ② 구성요건은 위법성과 동등한 범죄요소 ③ 불법의 본질은 결과반가치
| ① 실질적 위법성개념 → 사회적 유해성 ② 구성요건은 불법을 유형화하는 보조기능만 수행 ③ 불법의 본질은 결과반가치
| ① 불법의 본질 → 행위반가치(인적 불법론) ② 모든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하여 주관적 정당화사유의 일반화
| ① 불법을 행위반가치와 결과반가치의 이원론적 구조로 파악(이원론적 인적 불법론) ② 객관적 정당화사유와 주관적 정당화사유 |
책임론 | ① 책임능력 ②책임형식으로의 고의ㆍ과실 ③ 기타 책임요소(불법영득의사) ④ 면책사유 | ① 책임능력 ② 고의ㆍ과실(위법성의 인식) ③ 면책사유
| ① 책임능력 ② 책임요소(위법성인식) ③ 면책사유
| ① 책임능력 ② 책임형식으로서의 고의ㆍ과실 ③ 위법성의 인식 ④ 면책사유
|
특징 | ① 객관적 요소는 구성요건, 주관적 요소는 책임으로 철저하게 이분함 ② 심리적 책임론(비난되어야 할 의사내용) ③ 위법성의 인식은 고의의 요소 ④ 사실의 착오와 금지착오의 구별없음 | ① 고전적 체계의 수정형태 ② 주관적 구성요건요소의 존재를 부분적으로 인정함 ③ 규범적 책임론 → 책임은 심리적 상태가 아니라 비난가능성의 표지에 의하여 평가적으로 파악(비난가능성) | ① 고의를 비롯한 모든 주관적 불법요소들을 구성요건요소로 파악 ② 순수 규범적 책임개념(비난가능성) → 위법성의 인식은 고의와 분리된 독자적인 책임요소
| ① 신고전적 범죄체계와 목적적 범죄체계의 절충적 입장 ② 고의와 과실의 이중적 기능 인정 ③ 심정반가치를 책임형식으로서의 고의로 이해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