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과 안전
  • 행정구제
  • 36. [사례분석]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노선면허처분의 효력정지를 신청할 수 있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지(대법원 2000. 10. 10.자 2000무17 결정)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36.

[사례분석]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노선면허처분의 효력정지를 신청할 수 있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지(대법원 2000. 10. 10.자 2000무17 결정)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김경환 변호사
기여자
  • 김경환 변호사
0

사안 설명:

이 사건은 대한민국 정부와 중국 정부 간에 체결된 비밀 양해각서에 따라 서울/계림 간 국제항공노선에 관한 지정 항공사를 결정하고, 해당 노선의 운수권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분쟁이다.

  • 대한항공(이 사건의 신청인)은 해당 노선의 지정항공사로 선정되었고, 이에 따라 필요한 절차를 거쳐 중국 측 지정 항공사인 남방항공과 상무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대한항공은 운수권 배분 후 1년 이내에 해당 노선의 노선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피신청인)는 대한항공에 대한 노선배분의 효력을 상실시켰다.
  • 그 후, 정부는 해당 노선의 운수권을 아시아나항공(참가인)에게 배분하고, 이를 중국 정부에 통보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남방항공과 상무협정을 체결하고, 해당 노선의 노선면허를 취득하여 운항을 시작했다.
  • 대한항공은 정부의 이 같은 처분이 위법하다고 주장하며, 노선권 배분처분과 노선면허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동시에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노선면허처분의 효력정지를 신청했다.

 

쟁점: 행정처분 효력정지 신청의 법률상 이익

쟁점 설명: 이 사건에서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노선면허처분의 효력정지를 신청할 수 있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 법률상 이익이란 행정처분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확대되는 손해가 그 처분의 근거 법률에 의해 보호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과 관련된 것을 의미하며, 단순한 간접적 또는 경제적 이해관계는 포함되지 않는다.

대법원 판단:

  1. 경쟁 항공사에 대한 손해 주장:
    •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이 해당 노선에 대한 운수권을 취득함으로써 자신이 입게 되는 손해를 주장했다. 이는 점유율 감소, 경쟁력 저하, 신뢰도 하락, 연계 노선망 개발 및 전략적 제휴 기회 상실 등의 손해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러한 손해는 법률상 보호되는 권리나 이익 침해에 해당하지 않으며, 이를 이유로 효력정지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2. 면허 취득 가능성 주장:
    •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노선면허처분이 정지되면 자신도 동일한 자격으로 전세운항계획 인가를 받을 수 있는 지위를 가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행정청이 대한항공에게 인가를 해줄 법률상 의무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그 인가 여부는 다시 행정청의 별도 처분에 맡겨져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이익도 법률상 이익으로 인정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결론: 대법원은 대한항공의 효력정지 신청이 법률상 이익이 없어 부적법하다고 판단했다. 원심이 일부 부적절한 설시를 하였지만, 신청을 각하한 결론 자체는 정당하다고 보아 재항고를 기각했다.

이 결정의 법적 의의: 이 사건은 행정처분의 효력정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법률상 보호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사례다. 단순한 경제적 손해나 간접적 이해관계는 법률상 이익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는 행정소송에서의 기본적 기준을 명확히 하는 데 중요한 판례로 작용한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27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