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과 안전
  • 행정
  • 5. 행정법의 일반원칙 - 비례의 원칙
  • 5.1. 행정법상 비례원칙의 의의, 적용영역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5.1.

행정법상 비례원칙의 의의, 적용영역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의의

① 비례의 원칙이란 행정권의 발동에 있어서 행정목적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 사이에는 합리적인 비례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행정법의 일반원칙을 말한다. 과잉금지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비례의 원칙은 “참새를 잡기위해 대포를 쏘아서는 아니된다”라로 표현되기도 한다.

판례: 비례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이란 어떤 행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그 목적달성에 유효·적절하고 또한 가능한 한 최소침해를 가져오는 것이어야 하며 아울러 그 수단의 도입으로 인한 침해가 의도하는 공익을 능가하여서는 아니된다는 헌법상의 원칙을 말한다(대법원 1997. 9. 26. 선고 96누10096 판결).

② 비례의 원칙은 19세기 자유주의적 법치국가에서 국가 공권력의 행사 중에서 경찰권 발동의 법적 한계를 설정하는 원리로서 ‘경찰비례의 원칙’으로 성립하였으나, 오늘날 법치국가의 일반적인 원리로 승인되고 있다.

(2) 근거

(가) 헌법

헌법 제37조

②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하는 경우에도 자유와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할 수 없다.

비례의 원칙의 근거에 대하여 학계와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서 찾고 있다. 즉, 헌법 제37조 제2항은 법치국가원리에서 당연히 파생되는 비례의 원칙을 천명한 것으로 보고 있다.

(나) 개별법적 근거

개별법에서 비례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도 적지 않다.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조 제2항,] 식품위생법 제79조 제4항, 행정규제기본법 제5조 제3항 등이 있다.

경찰관직무집행법 제1조 [목적]

② 이 법에 규정된 경찰관의 직권은 그 직무 수행에 필요한 최소한도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남용되어서는 아니 된다.

행정규제기본법 제5조 [규제의 원칙]

③ 규제의 대상과 수단은 규제의 목적 실현에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객관성·투명성 및 공정성이 확보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행정절차법 제48조 [행정지도의 원칙]

행정지도는 그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소한도에 그쳐야 하며, 행정지도의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부당하게 강요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적용영역

① 경찰행정영역에서 발전된 것이기는 하나, 오늘날 행정법의 일반원리로 승인된 것인 만큼 침해행정인가 급부행정인가를 가리지 않고 행정법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특히 재량권 행사의 한계, 행정대집행의 한계, 부관의 한계, 경찰권 발동의 한계, 급부행정의 한계가 된다.

참고: 비례의 원칙의 파생원칙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철회의 제한법리, 형량명령이론, 과잉급부금지의 원칙 등

② 수익적 행정행위의 취소 및 철회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③ 사법관계에서는 사적 자치가 적용되므로 비례의 원칙은 원칙적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행정절차법」은 행정지도의 원칙으로 비례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⑤ 비례원칙은 국가와 국민 간에 통용되는 원칙이고, 고권주체간의 권한의 분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⑥ 비례원칙은 행정계획과 관련하여 계획재량을 제한하는 형량명령이론으로 발전하였다.

⑦ 비례의 원칙은 주로 재량행위의 통제법리이며 기속행위의 경우에는 근거가 된 법령에 대한 비례성 통제를 통해 간접적으로 행해진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14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