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과 안전
  • 행정
  • 39. 법규명령 중 집행명령의 근거와 한계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39.

법규명령 중 집행명령의 근거와 한계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근거

위임명령과는 달리 집행명령은 새로운 입법사항을 규율하는 것이 아니므로 법률의 명시적인 수권 없이도 발령될 수 있다.

판례: 구 사법시험령의 법적 성질(=집행명령)

구 사법시험령은 위 법원조직법, 검찰청법, 변호사법 등에서 정한 바에 따라 판사, 검사로 임용되거나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기 위한 전제로써 사법연수원에 입소할 자를 선발하기 위한 사법시험의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변호사의 자격과 판사, 검사 등의 임용의 전제가 되는 ‘사법시험의 합격’이라는 직업선택의 자유와 공무담임권의 기본적인 제한요건은 국회에서 제정한 법률인 변호사법, 법원조직법, 검찰청법 등에서 규정되어 있는 것이고, 사법시험령은 단지 위 법률들이 규정한 사법시험의 시행과 절차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구체화하고 국가공무원법상 사법연수생이라는 별정직 공무원의 임용절차를 집행하기 위한 집행명령의 일종이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2007. 1. 11. 선고 2004두10432 판결).

(2) 한계

집행명령은 법률 또는 상위명령을 집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형식이나 절차만을 규정할 수 있고, 상위법령에 규정이 없는 새로운 국민의 권리·의무에 관한 사항은 규정할 수 없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28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