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와 건설ㆍ부동산
  • 국토개발이용과 부동산
  • 242. [유권해석]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제21조(조정금의 지급ㆍ징수 또는 공탁)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242.

[유권해석]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제21조(조정금의 지급ㆍ징수 또는 공탁)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 ( 약칭: 지적재조사법 ) [시행 2024. 9. 20.] [법률 제20395호, 2024. 3. 19., 일부개정]

제21조(조정금의 지급ㆍ징수 또는 공탁) ① 조정금은 현금으로 지급하거나 납부하여야 한다. <개정 2017. 4. 18.>
 ② 지적소관청은 제20조제1항에 따라 조정금을 산정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조정금조서를 작성하고, 토지소유자에게 개별적으로 조정금액을 통보하여야 한다.
 ③ 지적소관청은 제2항에 따라 조정금액을 통지한 날부터 10일 이내에 토지소유자에게 조정금의 수령통지 또는 납부고지를 하여야 한다.
 ④ 지적소관청은 제3항에 따라 수령통지를 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조정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⑤ 제3항에 따라 납부고지를 받은 자는 그 부과일부터 6개월 이내에 조정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다만, 지적소관청은 1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조정금을 분할납부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17. 4. 18.>
 ⑥ 지적소관청은 조정금을 납부하여야 할 자가 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할 때에는 「지방행정제재ㆍ부과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 <신설 2017. 4. 18., 2020. 3. 24., 2020. 6. 9.>
 ⑦ 지적소관청은 조정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조정금을 지급받을 자의 토지 소재지 공탁소에 그 조정금을 공탁할 수 있다. <개정 2017. 4. 18.>
 1. 조정금을 받을 자가 그 수령을 거부하거나 주소 불분명 등의 이유로 조정금을 수령할 수 없을 때
 2. 지적소관청이 과실 없이 조정금을 받을 자를 알 수 없을 때
 3. 압류 또는 가압류에 따라 조정금의 지급이 금지되었을 때
 ⑧ 지적재조사지구 지정이 있은 후 권리의 변동이 있을 때에는 그 권리를 승계한 자가 제1항에 따른 조정금 또는 제7항에 따른 공탁금을 수령하거나 납부한다. <개정 2017. 4. 18., 2019. 12. 10.>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5년 6월 11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