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민주주의
  • 헌법과 국가, 인권
  • 72.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 정부형태
  • 72.2. 이원정부제(절충형 정부형태)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72.2.

이원정부제(절충형 정부형태)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의의

이원정부제라 함은 행정부가 대통령과 내각의 두 기구로 구성되고 대통령과 내각이 각기 집행에 관한 실질적 권한을 나누어 가지는 정부형태를 말한다(바이마르 공화국헌법, 프랑스 제5공화국헌법, 오스트리아헌법, 포르투갈헌법, 핀란드헌법 등이 채택).

2. 이원정부제의 특징(제도적 요소)

① 행정부의 이원적 구조 : 행정부가 대통령과 내각의 두 기구로 구성되는 이원적 구조임을 특색으로 한다. 대통령은 국민에 의하여 직접 선출되고 내각의 수상은 원내다수당의 지도자가 선출된다.

② 집행에 관한 권한의 분할행사 : 대통령과 수상이 각각 집행에 관한 실질적인 고유권한을 행사한다. 대체로 대통령은 외교․국방 등 국가안보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고 국가긴급권을 보유하는데 대하여, 수상은 법률의 행정권과 그 밖의 일반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③ 대통령의 의회해산권과 의회의 내각불신임권 : 대통령은 수상임면권과 의회해산권 등을 행사할 수 있는 반면에, 의회는 수상의 내각에 대해서만 불신임결의를 할 수 있고 대통령에 대해서는 불신임결의를 할 수 없다.

3. 이원정부제의 장․단점

장점

① 평상시에 있어서는 의원내각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 때문에 입법부와 행정부의 대립에서 오는 마찰을 회피할 수 있다.

② 국가의 위기에 있어서는 대통령이 직접 통치함으로써 신속⋅안정된 국정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단점

① 대통령이 국가긴급권을 가지고 있으나 내각과 의회의 견제권이 약하기 때문에 독재화의 우려가 있다.

② 대통령이 위기를 빙자하여 비상권한을 행사하는 경우 의회의 권한이 축소․제한되어 국민주권주의에 충실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여론을 외면한 행정이 행해지기 쉽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7월 29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