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분립론의 전개
구 분 | J. Locke의 권력분립론 | 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론 |
출 처 | 시민정부에 관한 두 논문(Two Treatises on Civil Government ; 시민정부2론) | 법의 정신 |
유 형 | • 기관중심 2권분립론․기능중심 4권분립 → 기관중심 : 입법권․집행권 → 기능중심 : 입법, 집행, 외교(동맹․연합권), 대권
| • 입법권 → 입법권은 귀족원과 시민의회의 두 기관이 담당(양원제) • 국제법에 속하는 사항의 집행권(집행권) → 집행권은 1인에게 부여 • 시민권에 속하는 사항의 집행권(사법권) → 비상설의 법정에서 국민이 선출한 법관이 담당[08사시] |
분리의 정도 | 단순한 권력의 분리를 강조 | 견제와 균형 강조 |
기타 특징 | ① 영국 명예혁명 후의 영국의 정치상황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명예혁명의 이론적인 부산물이다. ② 입법권 우위의 권력분립 ③ 집행권은 한사람의 수중(국왕)에 두는 것이 바람직 ④ 사법권에 관한 언급 없음[08사시] ⑤ 영국 의원내각제에 영향을 미침
| ① 몽테스키외의 삼권분립이론은 권력분립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권력의 분산을 통한 권력의 제한을 실현시킴으로써 시민의 자유를 보호하겠다는 것이 주안점 ② 영국의 헌정을 모델로 함 ③ 사법권의 소극적 독립성 ④ 미국에 영향을 주어 대통령제로 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