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민주주의
  • 헌법과 국가, 인권
  • 71.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 권력분립
  • 71.1. 권력분립론의 전개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71.1.

권력분립론의 전개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구 분J. Locke의 권력분립론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론
출 처시민정부에 관한 두 논문(Two Treatises on Civil Government ; 시민정부2론)법의 정신
유 형

• 기관중심 2권분립론․기능중심 4권분립

→ 기관중심 : 입법권․집행권

→ 기능중심 : 입법, 집행, 외교(동맹․연합권), 대권

 

 

 

 

• 입법권

→ 입법권은 귀족원과 시민의회의 두 기관이 담당(양원제)

• 국제법에 속하는 사항의 집행권(집행권)

→ 집행권은 1인에게 부여

• 시민권에 속하는 사항의 집행권(사법권)

→ 비상설의 법정에서 국민이 선출한 법관이 담당[08사시]

분리의 정도단순한 권력의 분리를 강조견제와 균형 강조
기타 특징

① 영국 명예혁명 후의 영국의 정치상황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명예혁명의 이론적인 부산물이다.

② 입법권 우위의 권력분립

③ 집행권은 한사람의 수중(국왕)에 두는 것이 바람직

④ 사법권에 관한 언급 없음[08사시]

⑤ 영국 의원내각제에 영향을 미침

 

 

① 몽테스키외의 삼권분립이론은 권력분립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권력의 분산을 통한 권력의 제한을 실현시킴으로써 시민의 자유를 보호하겠다는 것이 주안점

② 영국의 헌정을 모델로 함

③ 사법권의 소극적 독립성

④ 미국에 영향을 주어 대통령제로 발전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7월 29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