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민주주의
  • 헌법과 국가, 인권
  • 14. 사회국가의 원리
  • 14.2. 사회국가 원리의 전개 및 헌법에의 수용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14.2.

사회국가 원리의 전개 및 헌법에의 수용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사회국가원리의 전개

1919년 Weimar헌법은 사회적 기본권을 최초로 명문화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국가원리를 채택하였고, 1949년 독일기본법은 ‘사회적 법치국가’, ‘사회적 연방국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사회국가원리를 최초로 규정하게 되었다(계희열, 326; 홍성방, 150; 허영).

2. 사회국가원리의 헌법에의 수용형태

① 사회적 기본권을 통해서 사회국가원리를 간접적으로 제도화하는 방법(현행 한국헌법, Weimar 헌법)

② 사회국가원리만을 규정하는 방법(독일기본법)

③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국가원리를 함께 두는 방법(Italy 헌법)

우리 헌법은 사회국가원리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헌법의 전문, 사회적 기본권의 보장(헌법 제31조 내지 제36조), 경제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유도하고 재분배하여야 할 국가의 의무를 규정하는 경제에 관한 조항(헌법 제119조 제2항 이하) 등과 같이 사회국가원리의 구체화된 여러 표현을 통하여 사회국가원리를 수용하였다(헌법재판소 2002. 12. 18.자 2002헌마52 결정).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14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