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민주주의
  • 국회ㆍ선거ㆍ정당
  • 1. 국회의 구성원리
전체 목록 보기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1.

국회의 구성원리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양원제

(가) 의 의

① 양원제라 함은 의회가 두 합의체로써 구성되고 두 합의체가 각기 독립하여 결정한 의사가 일치하는 경우에, 이것을 의회의 의사로 간주하는 의회제도를 말한다.

② 양원제는 영국의 특수한 사정에서 유래하는 제도로서 역사적으로는 단원제의회보다 양원제의회가 먼저 채택되었다. 몽테스키외(Montesquieu)도 “법의 정신”에서 양원제를 주장하였으며, 오늘날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에서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나) 제도적 의의

① 양원제는 일반적으로 제2원(상원)의 성격과 구성의 차이에 따라 유형이 다르게 나타난다.

군주제국가의 양원제는 귀족과 평민이라는 이원적 구조에 입각하여 두 정치세력간에 권력적 균형과 이해의 조화를 꾀할 수 있고, 때로는 군주의 정치적 권익을 옹호하려는 데에 양원제의 존재이유가 있다. 영국의 귀족형 양원제가 그 예이며 이론적으로는 몽테스키외가 이 유형의 양원제를 주장하고 있다.

연방제국가의 양원제는 연방국가의 구조적 특수성에 대응하는 것이다. 상원은 연방을 구성하는 각 주를 대표하고 하원은 국민전체를 대표한다. 미국이나 독일의 주대표형 양원제가 그 예이다.

단일제공화국의 양원제는 단원제의회의 경솔·전제·부패 등을 방지한다는 실천적 의미를 가지며, 다각적인 민의의 반영에서 그 존재의의를 찾는다. 일본의 양원제나 브라이스의 직능대표형 양원제가 그 예이다.

 

2. 단원제

단원제라 함은 의회가 민선의원으로 조직되는 단일의 합의체로써 구성되는 의회제도를 말한다.

(3) 양원제와 단원제의 장·단점

 양원제단원제
장점

• 의안처리에 신중을 기하여 하원의 급진·경솔을 방지할 수 있다.

• 국회의 구성에 권력분립적 요소를 도입하여 원내 다수파의 전제와 횡포를 방지하고 국민의 권익을 옹호할 수 있다.

• 양원의 조직을 달리 함으로써 단원제의 파쟁과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 상원이 하원과 정부간에 완충역할

• 연방국가적 구조를 국회에 반하여 지방의 이익을 옹호할 수 있다.

• 하원의 지역대표에 대하여 상원의 직능대표 등을 통해 직능단체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다.

• 신속·능률적인 의안심의를 기할 수 있다.

• 정부에 대한 의회지위를 강화할 수 있다.

• 의회의 책임소재가 분명하다.

• 국비의 절감을 기할 수 있다.

• 국민의 의사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단점

• 중복된 절차로 인해 의안처리가 지연되고 국가예산을 낭비한다.

• 양원이 서로 책임을 전가함으로써 국회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

• 정부에 대한 의회의 지위가 약화된다.

• 상원의 보수화로 인해 국민의사가 왜곡·굴절 반영될 위험성이 있다.

 

• 의회 다수파의 횡포와 의안처리가 경솔해 질 수 있다.

• 의회 다수파의 횡포로 졸속입법의 위험성이 있다.

• 국회가 정쟁의 무대로 될 위험성이 있다.

• 국회와 정부가 충돌할 경우 완충책이 없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12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