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ㆍ정보ㆍ방송통신
  • 로봇ㆍ드론
  • 5. 드론 관련 법령의 개관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전문가를 소개합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5.

드론 관련 법령의 개관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김경환 변호사
기여자
  • 김경환 변호사
0

드론 관련 법률은 항공안전법, 항공사업법, 일명 드론법이라 할 수 있는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3가지가 있다. 중요 조문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드론법>

1) 드론의 정의 : 초경량비행장치 중 무인비행장치 또는 무인항공기

*비행장치의 유형 : 항공기, 경량항공기, 초경량비행장치​

2) 드론사용사업자 :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드론을 사용하여 유상으로 운송, 농약살포, 사진촬영 등의 업무를 수행할 목적으로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을 영위하는 자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야 하므로 자기 자신을 위한 사용은 해당 없음​

 

<항공안전법>

1) 드론 신고 : 드론 소유자 또는 사용권자는 2kg 초과의 경우는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초경량비행장치의 종류, 용도, 소유자의 성명, 개인정보 수집 가능 여부 등을 신고하여야 함 --> 신고번호 발급함

*다만 사업용 드론의 경우는 2kg 이하라도 신고하여야 함​

2) 안전성 인증 : 25kg을 초과하는 경우 기술상 기준에 적합하다는 안전성 인증을 받아야 함​

3) 조종자 증명 : 12kg 초과의 경우 조종자 증명을 받아야 함

* 취미 등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드론과 사업용 드론 중 12kg 미만인 경우는 조종자 증명 불요​

4) 비행승인 : 자체 무게가 12kg 이하인 드론은 비행승인 불요

그러나 비행장 주변 관제권, 비행금지구역, 고도 150m 이상 등의 공역은 무게에 상관없이 승인 필요 (*승인을

받으면 비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함)​

5) 조종자 준수사항

- 사고시 보고의무

- 프라이버시 침해 금지 의무

- 야간 비행 금지

- 음주 비행 금지

-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의 비행 금지

<항공사업법>

1) 사업의 유형 : 초경량비행장치 대여사업,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초경량비행장치 스포츠레저사업

2) 초경량비행장치 대여사업

-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등록 의무

- 초경량비행장치마다 보험 가입 의무​

3)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

-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등록 의무

- 최소자본금 3,000만원, 다만 최대이륙중량이 25kg 이하인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는 예외

- 보험가입의무​

4) 초경량비행장치 스포츠레저사업

- 정의 : 타인의 수요에 맞추어 유상으로 초경량비행장치를 항공레저스포츠를 위하여 대여하는 서비스

-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등록 의무

- 최소자본금 3,000만원

- 보험가입의무​

5) 위 3개 사업 외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영리 목적 사용금지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14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