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사
  • 형사소송
  • 4. 형사소송을 이끌어 가는 주체는 누구인가? - 형사소송구조론
  • 4.1.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

  • 프로필 아이콘

    OOO 변호사

  • 프로필 아이콘

    OOO 검사

  • 프로필 아이콘

    OOO 법학박사

  • 프로필 아이콘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4.1.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1. 당사자주의

⑴ 의의

당사자, 즉 검사와 피고인에게 소송의 주도적 지위를 인정하여 당사자 사이의 공격과 방어에 의하여 심리가 진행되고 법원은 제3자의 입장에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을 판단하는 소송구조를 말한다.

⑵ 내용

소송은 당사자의 청구에 의해 개시되고, 증거의 수집과 제출은 당사자에게 맡겨지고 심리도 당사자의 공격ㆍ방어의 형태로 진행된다.

⑶ 당사자주의의 장단점

① 장점

당사자에 의하여 보다 많은 증거가 법원에 제출되고 법원은 순수한 제3자의 입장에서 공정한 재판이 가능하게 된다. 피고인에게 검사와 대등한 지위를 인정함으로써 피고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② 단점

당사자 사이에 공격과 방어의 항쟁이 연속되어 심리의 능률과 신속을 달성할 수 없다. 소송의 운명이 당사자의 소송수행에 대한 열의와 능력에 의해 좌우되는 결과 사법의 스포츠화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

 

2. 직권주의

⑴ 의의

소송에서의 주도적 지위를 법원에게 인정하는 소송구조를 말한다.

⑵ 내용

법원이 직권으로 증거를 수집ㆍ조사하고(직권탐지주의), 소송물은 법원의 지배하에 있게되어 법원이 직권으로 사건을 심리한다(직권심리주의).

⑶ 직권주의의 장단점

① 장점

국가형벌권 실현과 실체진실주의의 소송이념에 적합하고 재판의 지연을 방지하여 능률적이고 신속한 재판을 실현할 수 있다.

② 단점

사건의 심리가 법원의 독단에 흐를 위험이 있으며 피고인의 방어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없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10월 30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