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사
  • 기타 범죄
  • 20. 온라인 마약 은어 종류와 처벌 기준 ('아이스', '캔디' 등)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전문가를
소개합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20.

온라인 마약 은어 종류와 처벌 기준 ('아이스', '캔디' 등)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법무법인태하
기여자
  • 법무법인태하
0
온라인 마약 은어 종류와 처벌 기준 ('아이스', '캔디' 등)
온라인 마약 은어 종류와 처벌 기준
('아이스', '캔디' 등)


국내 마약 범죄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SNS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은 마약류 유통의 주요 경로로 자리 잡았으며, 단속을 피하기 위한 교묘한 은어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수사망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일상적인 단어를 암호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마약 사범들은 ‘시원한 술’, ‘캔디’처럼 평범한 단어를 사용하여 비전문가나 일반인이 그 의미를 즉시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을 악용한다. 이는 온라인상에서 마약 거래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호기심으로 접근하는 이들에게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한다. 뉴스에서 보도되는 대부분의 약물 범죄는 이러한 은어를 통해 비밀리에 거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주요 마약 종류별 은어 목록 및 의미

마약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각각을 지칭하는 은어 또한 여러 갈래로 존재한다. 주기적으로 새로운 은어가 생성 및 변형되어 사용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메스암페타민(필로폰): 뽕, 작대기, 빙두, 아이스, 시원한 술
  • MDMA(엑스터시): 몰리, 캔디, 도리
  • LSD: 우표, 원석케이
  • 합성대마(JWH 계열): 허브, 브액
  • 대마초(THC): 떨, 고기, 마리화나, 덕트, 라바
  • 펜타닐: 아파치, 댄스피버, 하얀중국, 중국소녀

 

만약 온라인 게시물에서 위와 같은 단어가 의심스러운 맥락으로 사용된다면 마약 거래를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

마약 은어 사용 및 거래 시 법적 처벌 기준

단순 호기심으로 마약 관련 게시글에 접근하거나 구매를 시도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심각한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현행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은 마약 소지만으로도 중형을 규정하고 있다.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제60조(벌칙)
향정신성의약품을 매매, 알선, 수수, 소지, 사용, 관리, 조제, 투약, 제공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최근에는 고액 아르바이트를 빙자하여 일반인을 마약 밀반입 및 운반책으로 이용하는 사기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자신도 모르게 연루되었더라도, 마약 범죄에 대한 엄벌주의 기조에 따라 억울한 혐의를 벗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마약 사건에 연루되었다면, 초기 단계부터 다수의 마약 사건 경험이 있고 관련 법률과 약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변호사의 체계적인 조력을 받는 것이 좋다. 순간의 잘못된 판단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지 않도록 신중히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대처가 요구된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4일 전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