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찰ㆍ조달ㆍR&D
  • 국가계약ㆍ지자체계약
  • 2. '계약불이행등' 부정당업자에 대한 국가계약법상 제재
  • 2.2. ‘계약불이행등’ 부정당업자 해당 요건
  • 2.2.1. 정당한 이유 없이(부정당업자 요건)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

  • 프로필 아이콘

    OOO 변호사

  • 프로필 아이콘

    OOO 검사

  • 프로필 아이콘

    OOO 법학박사

  • 프로필 아이콘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2.2.1.

정당한 이유 없이(부정당업자 요건)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기여자
  • 법무법인민후
0

정당한 이유란, 계약상대방에게 계약불이행에 대한 귀책사유가 없어 그 책임을 계약 상대방에게 부담시키도록 하는 것이 부당한 경우를 의미한다(서울행정법원 2013. 10. 11. 선고 2013구합7032 판결). 

[대법원 1983. 12. 27. 선고 81누366 판결] 원고의 대리인이 입찰금액을 60,780,000원으로 기재한다는 것이 착오로 금 6,078,000원으로 잘못 기재한 것은 시설공사 입찰유의서(재무부회계예규 1201, 04-101) 제10조 제10호 소정의 입찰서에 기재한 중요부분의 착오가 있는 경우에 해당되어 이를 이유로 즉시 입찰취소의 의사표시를 한 이상 피고(조달청장)는 본건 입찰을 무효로 선언함이 마땅하므로 원고가 이 사건 공사계약체결에 불응하였음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니 원고를 부정당업자로서 6월간 입찰참가자격을 정지한 피고의 처분은 재량권을 일탈하여 위법하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4월 15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