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사
  • 민법총칙
  • 64. 법률행위의 취소
  • 64.2. 취소권의 행사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

  • 프로필 아이콘

    OOO 변호사

  • 프로필 아이콘

    OOO 검사

  • 프로필 아이콘

    OOO 법학박사

  • 프로필 아이콘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64.2.

취소권의 행사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0

    취소권은 취소권자가 그 상대방에 대하여 단독의 의사표시로써 행사하여야 한다.

    1. 취소권자(제140조)

    가. 제한능력자

    제한능력자가 의사능력이 있는 한 단독으로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추인은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거나 법정대리인이 할 수 있다.

    나. 하자 있는 의사표시를 한 자

    하자 있는 의사표시란 사기ㆍ강박에 의한 의사표시를 의미하나, 학설은 착오에 의한 의사표시도 이에 포함된다는 점에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다. 대리인

    무능력자와 하자 있는 의사표시를 한 자의 임의대리인과 법정대리인은 법률행위를 취소할 수 있다. 법정대리인의 취소권은 고유권이지 대리권은 아니다. 주의할 점은 ⅰ) 임의대리인이 취소권을 행사하려면 본인으로부터 취소에 대한 수권이 있어야 한다. 다만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 대한 수권을 받은 임의대리인은 취소권도 행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통설). ⅱ) 친권자는 각자 단독으로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ⅲ) 후견인이 취소권을 행사하는 데는 친족회의 동의가 불필요하다(추인의 경우에는 동의가 필요한 점과 구별하여야 한다).

    라. 승계인

    무능력자나 하자 있는 의사표시를 한 자로부터 취소권을 승계한 포괄승계인이나 특정승계인은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ⅰ) 취소권만의 승계는 인정되지 않으며, 취소할 수 있는 행위에 의하여 취득한 권리의 승계가 있는 경우 특정승계인은 취소권자가 된다. ⅱ) 주채무에 취소원인이 있는 경우 보증인이 직접 주채무자의 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견해가 대립하나, 통설은 보증인이 직접 주채무자의 취소권을 행사하게 되면 보증채무의 담보적 기능은 크게 약화되므로 보증인은 직접 주채무자의 취소권을 행사할 수 없고, 다만 보증인은 주채무자의 취소권을 가지고 채권자에 대하여 보증채무의 이행을 거절할 수 있다고 본다(제435조).

    2. 취소의 상대방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상대방이 확정된 경우에는 그 취소는 그 상대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하여야 한다.

    민법 제142조(취소의 상대방)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상대방이 확정한 경우에는 그 취소는 그 상대방에 대한 의사표시로 하여야 한다.

    3. 방식

    취소는 취소권자의 단독의 의사표시로써 한다(제142조).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6월 25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