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민주주의
  • 헌법과 국가, 인권
  • 33. 신체의 자유 (자유권적 기본권 - 인신에 관한 자유)
  • 33.4. 신체의 자유의 절차적 보장
  • 33.4.4. 체포⋅구속이유 등 고지제도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

  • 프로필 아이콘

    OOO 변호사

  • 프로필 아이콘

    OOO 검사

  • 프로필 아이콘

    OOO 법학박사

  • 프로필 아이콘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33.4.4.

체포⋅구속이유 등 고지제도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0

    대한민국헌법 제12조

    ⑤ 누구든지 체포 또는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고지받지 아니하고는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하지 아니한다.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자의 가족 등 법률이 정하는 자에게는 그 이유와 일시․장소가 지체없이 통지되어야 한다.

    형사소송법 제87조 [구속의 통지]

    ① 피고인을 구속한 때에는 변호인이 있는 경우에는 변호인에게, 변호인이 없는 경우에는 제30조 제2항에 규정한 자중 피고인이 지정한 자에게 피고사건명, 구속일시․장소, 범죄사실의 요지,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는 취지를 알려야 한다.

    ② 제1항의 통지는 지체없이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

     

    1. 의 의

    미국연방대법원이 수정헌법 제5조의 자기부죄거부특권(自己負罪拒否特權)에 근거하여 정립한 미란다원칙을 현행헌법에서 신설

    2. 내 용

    (가) 고지

    ① 체포․구속을 당하는 형사피의자 또는 피고인이다.

    ② 체포․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사실을 고지 ⇨ 피의사실의 요지, 체포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말하고 변명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형사소송법 제200의5).

    (나) 통지

    ① 체포 또는 구속을 당한 자의 가족 등 법률이 정한자이다. 즉 변호인이 있는 경우에는 변호인에게, 변호인이 없는 경우에는 법정대리인, 배우자, 직계친족과 형제자매 중 피고인이 지정한 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② 헌법에는 체포 이유와 일시, 장소라고 규정되어 있으나, 형사소송법은 피고사건명, 구속일시․장소, 범죄사실의 요지, 구속의 이유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는 취지를 알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형소법 제87조).

    ③ 통지는 지체없이 서면으로 하여야 하고(형소법 제87조 제2항), 이 권리는 포기할 수 없다.[04행시]

    (3) 침해와 구제

    수집된 증거는 증거능력이 부정, 불법행위를 구성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4년 8월 14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