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과 아동ㆍ청소년
  • 상속
  • 14. 상속능력
전체 목록 보기

이 페이지의 첫 번째 전문가가 되어주세요!

  • 프로필 아이콘

    OOO 변호사

  • 프로필 아이콘

    OOO 검사

  • 프로필 아이콘

    OOO 법학박사

  • 프로필 아이콘

    OOO 판사

위키를 작성하면 이 곳에 프로필이 표시됩니다.

프로필은 본인 닉네임 클릭 > ‘내정보관리’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플라 위키는 변호사, 판사, 검사, 법학교수, 법학박사인증된 법률 전문가가 작성합니다.

14.

상속능력

  • 새 탭 열기
  • 작성 이력 보기

생성자
네플라
0

① 상속인이 될 수 있는 자격을 상속능력이라고 한다. 상속능력은 연령이나 의사능력과는 무관하며, 권리능력이 있다면 상속능력이 인정된다. 다만, 법인은 권리능력은 있으나 상속능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법인도 포괄유증은 받을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속을 받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② 피상속인이 사망한 시점에 상속능력이 있어야 한다. 상속은 피상속인이 사망한 시점에 그 권리․의무가 법률상 당연히 승계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시사망으로 추정되는 사람들 상호간에는 상속이 발생하지 않는다.

③ 태아는 상속에 있어서 권리능력이 인정된다(제1000조 제3항). 즉, 태아는 피상속인이 사망한 시점에 아직 출생하지 않았지만, 태아의 보호를 위해 상속능력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는 상속능력의 동시존재의 원칙에 대한 예외이다.

태아의 권리능력 인정을 정지조건설에 따라 이해하는 판례(76다1365)의 입장에서는, 태아가 살아서 출생한 경우에 한하여 상속개시시에 소급해서 상속능력이 인정되는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0
공유하기
최근 작성일시: 2025년 1월 25일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 맨아래로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