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 직제

현행

합동참모본부 직제

연혁
  • 링크 복사하기
[현행 2024.10.01.] [대통령령 제264611호 2024.08.06. 타법개정]

  • 국방부(조직관리담당관), 02-748-6577

제1조 (목적)

이 영은 합동참모본부의 조직과 직무범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임무)

합동참모본부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관장한다.  <개정 2012. 12. 27., 2014. 11. 4., 2015. 2. 16 .>

1.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육군ㆍ해군ㆍ공군의 작전부대의 작전지휘 및 감독 

2. 합동작전의 수행을 위하여 설치된 합동부대의 지휘 및 감독 

3. 합동작전 및 연합작전의 수행 

4. 합동참모회의의 운영 

5. 군사전략 기획 및 군사력건설의 소요(所要) 결정 

6. 군사전략정보ㆍ군사정보의 수집 및 운용 

7. 군사작전의 기획 및 운용 

8. 자원의 소요 판단 및 기획 

9. 민군(民軍)작전, 심리전 및 정보작전의 수행 

10. 지휘통신업무 

11. 민ㆍ관ㆍ군 통합방위작전의 수행 

12. 계엄과 관련된 업무 

13. 합동작전 지원 분야에 대한 육군ㆍ해군ㆍ공군과의 원활한 협의체계의 수립 

14. 합동전투 발전업무 및 육군ㆍ해군ㆍ공군 합동교육의 지도ㆍ감독 

15. 그 밖에 제1호부터 제14호까지의 사항과 관련된 업무 

제3조 (참모 부서)

① 참모 부서는 특별참모부와 일반참모부로 구분한다. 

② 합동참모의장 밑에 특별참모부로 비서실장ㆍ공보실장ㆍ법무실장ㆍ전비태세검열실장 및 분석실험실장을 둔다.  <개정 2012. 12. 27., 2015. 2. 16., 2019. 6. 11 .>

③ 합동참모본부에 일반참모부로 정보본부ㆍ작전본부ㆍ전략기획본부 및 군사지원본부를 둔다.  <개정 2022. 12. 30., 2024. 8. 6 .>

제4조 (비서실장)

① 비서실장은 장성급(將星級) 장교 또는 2급 이상 군무원으로 보한다.  <개정 2012. 12. 27., 2015. 2. 16., 2017. 9. 5 .>

②비서실장은 의전 및 참모활동의 조정ㆍ협조를 필요로 하는 사항에 관하여 합동참모의장과 합동참모차장을 보좌한다. 

[제5조에서 이동, 종전 제4조는 삭제 <2012. 12. 27.>]

제5조 (공보실장)

① 공보실장은 장성급 장교, 2급 이상 군무원 또는 영관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5. 2. 16., 2017. 9. 5 .>

②공보실장은 군사관계 보도 및 보도 협조사항에 관하여 합동참모의장과 합동참모차장을 보좌한다. 

[제6조에서 이동, 종전 제5조는 제4조로 이동 <2012. 12. 27.>]

제6조 (법무실장)

① 법무실장은 장성급 장교, 2급 이상 군무원 또는 영관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5. 2. 16., 2017. 9. 5 .>

②법무실장은 군사관계 법제, 군사협약, 작전법, 국제법, 소송, 그 밖에 법무 일반사항에 대하여 합동참모의장과 합동참모차장을 보좌한다. 

[제7조에서 이동, 종전 제6조는 제5조로 이동 <2012. 12. 27.>]

제7조 (전비태세검열실장)

① 전비태세검열실장은 장성급 장교 또는 1급 군무원으로 보한다. 

② 전비태세검열실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관하여 합동참모의장을 보좌한다. 

1.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육군ㆍ해군ㆍ공군의 작전부대에 대한 전투준비태세 검열 

2. 합동부대에 대한 지휘검열 

3. 합동참모본부 및 합동부대에 대한 감찰 업무 

[전문개정 2019. 6. 11.]

제7조의 2 (분석실험실장)

① 분석실험실장은 장성급 장교 또는 2급 이상 군무원으로 보한다.  <개정 2017. 9. 5 .>

② 분석실험실장은 다음 각 호의 업무에 관하여 합동참모의장과 합동참모차장을 보좌한다. 

1. 합동실험, 합동작전, 연합작전 및 합동연습(이하 “합동실험등”이라 한다)을 위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과 그 모델링 등의 개선 

2. 군사력건설 소요 및 전투발전 소요의 분석 

3. 그 밖에 합동실험등에 관한 업무 

[본조신설 2015. 2. 16.]

제8조 (정보본부)

① 정보본부에 본부장 1명을 두고, 본부장은 장성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7. 9. 5 .>

② 본부장은 군사전략정보 및 군사정보의 수집ㆍ분석ㆍ생산ㆍ전파에 관한 사항을 분장(分掌)한다. 

제9조 (작전본부)

① 작전본부에 본부장 1명을 두고, 본부장은 장성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7. 9. 5 .>

② 본부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분장한다.  <개정 2012. 12. 27., 2015. 2. 16., 2022. 12. 30 .>

1. 군사작전에 대한 기획ㆍ계획ㆍ지휘 및 통제 

2. 위기관리 및 전시전환체제 유지 

3. 작전기획 소요의 판단ㆍ요구 및 준비태세 평가 

4. 민ㆍ관ㆍ군 통합방위작전 및 훈련 

5. 공병작전 

6. 군사시설보호에 관한 작전성 검토 

7. 예비전력(豫備戰力) 소요 제기 

8. 합동훈련ㆍ연합훈련 및 부대훈련에 관한 정책 수립 및 지원 

9.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의 운용 

제10조 (전략기획본부)

① 전략기획본부에 본부장 1명을 두고, 본부장은 장성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7. 9. 5 .>

② 본부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분장한다.  <개정 2014. 11. 4., 2015. 2. 16 .>

1. 국가안전보장회의의 군사사항에 관한 업무 

2. 전략환경 및 위협에 대한 판단 

3. 군사정책과 군사전략, 군비전략의 수립 및 발전 

4. 대외 군사협력 업무 

5. 군사력건설 소요 결정 및 무기체계의 획득ㆍ관리 

6. 미래전 운영 개념의 발전, 군 구조(構造) 발전 및 무기체계의 기획 

7. 시험평가에 관한 제도발전 연구 

8. 시험평가계획 수립을 위한 사전 검토 

9. 시험평가 결과 판정을 위한 사전 검토 

10. 시험평가 수행에 대한 조정ㆍ통제 

11. 시험평가 예산의 검토 및 집행 

12. 전시 시험평가사업의 분류 

13. 합동전투 발전업무 및 육군ㆍ해군ㆍ공군 합동교육의 지도ㆍ감독 

제11조 (군사지원본부)

① 군사지원본부에 본부장 1명을 두고, 본부장은 장성급 장교로 보한다.  <개정 2017. 9. 5 .>

② 본부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분장한다.  <개정 2015. 2. 16., 2022. 12. 30 .>

1. 작전에 소요되는 인사ㆍ군수 자원의 소요 판단 및 준비태세 평가 

2. 지휘통제체계, 정보통신체계, 군용주파수, 지휘통신의 상호 운용성 및 정보보호 

3. 삭제  <2015. 2. 16 .>

4. 해외파견 전투부대에 관한 운용 및 파견 전 교육훈련 

5. 민군작전 및 계엄업무 

제11조의 2

삭제  <2024. 8. 6 .>

제12조 (하부조직)

① 일반참모부 밑에 부ㆍ처ㆍ과를 두고, 특별참모부 밑에 과를 둘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일반참모부 밑에 실ㆍ단을 둘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부ㆍ처ㆍ과ㆍ실ㆍ단에는 부장ㆍ처장ㆍ과장ㆍ실장ㆍ단장을 두고, 같은 항에 따른 부에는 필요한 경우 차장 또는 조정관을 둘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부장ㆍ처장ㆍ단장ㆍ실장ㆍ차장ㆍ조정관은 장성급 장교, 2급 이상 군무원 또는 영관급 장교로 보한다. 

④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부ㆍ처ㆍ과ㆍ실ㆍ단 또는 차장ㆍ조정관의 설치와 업무 분장에 관한 사항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한다. 

[전문개정 2022. 12. 30.]

제13조 (위원회)

① 합동참모본부에 합동참모의장이 자문하는 사항에 조언하기 위하여 위원회를 둘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사항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한다. 

제14조 (정원)

① 합동참모본부에 두는 군인과 군무원의 정원은 국방부장관이 정한다. 

② 합동참모본부에 두는 군인의 직위는 육군ㆍ해군ㆍ공군의 균형발전과 임무 및 기능을 고려하여 육군ㆍ해군ㆍ공군의 필수직위를 설정하고, 공통직위는 육군ㆍ해군ㆍ공군의 비율을 각각 2:1:1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개정 2015. 2. 16 .>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