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현행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연혁
  • 링크 복사하기
[현행 2024.07.30.] [보건복지부령 제264525호 2024.07.30. 일부개정]

  • 보건복지부(필수의료총괄과), 044-202-2664

제1조 (목적)

이 규칙은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지급신청)

①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10조에 따라 재난적의료비에 대한 지급을 받으려는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지원대상자(이하 “지원대상자”라 한다)는 최종 진료일(입원진료의 경우에는 퇴원일을 말한다)의 다음 날부터 180일 이내에 「국민건강보험법」 제12조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에 그 지급을 신청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지급신청을 하려는 사람은 별지 제1호서식의 재난적의료비 지급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1.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제1항제1호에 따른 가족관계증명서 등 지원대상자 해당 여부 확인에 필요한 서류 

2. 진단서, 입ㆍ퇴원 확인서 등 법 제10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진료 등의 사실 확인에 필요한 서류 

3. 법 제10조제3항 각 호의 자료 또는 정보 제공동의에 관한 서류 

4. 예금통장 사본 등 법 제14조제1항에 따른 지원대상자 명의의 지정계좌(이하 “지정계좌”라 한다)로의 입금 등에 필요한 서류 

5. 진료비ㆍ약제비 영수증 등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2조에 따른 의료비 확인에 필요한 서류 

6.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가입 및 보험금 지급명세를 증명하는 서류 등 영 제11조에 따른 지원금액 산정 및 영 제12조에 따른 지급제외 대상 금품 등의 확인에 필요한 서류 

③ 법 제10조제2항 전단에 따라 지원대상자를 대리하여 재난적의료비 지급을 신청하는 사람은 별지 제1호서식의 재난적의료비 지급신청서 및 별지 제2호서식에 따른 위임장 외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서류도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1. 지원대상자의 가족: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제1항제1호에 따른 가족관계증명서 등 가족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2. 의료기관등의 종사자: 재직증명서 등 의료기관등의 종사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④ 공단은 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지급신청을 받은 경우 「전자정부법」 제36조제1항에 따른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다음 각 호의 서류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만, 신청인이 확인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서류를 첨부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3. 2. 1 .>

1. 주민등록표 등본 

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른 수급자 증명서 

⑤ 제1항부터 제4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재난적의료비 지급신청 절차, 방법 등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한다. 

제3조 (지급 결정ㆍ통보)

① 공단은 제2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른 신청에 대하여 재난적의료비 지급 여부를 결정한 후 그 신청인(제2조제3항에 따른 대리 신청의 경우에는 그 대리인과 지원대상자를 말한다)에게 결과를 별지 제3호서식의 재난적의료비 지급ㆍ부지급 결정 통보서에 따라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② 공단은 재난적의료비를 지급하지 아니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그 사유를 명시하여 통보하여야 한다. 

제4조 (지원대상자에 대한 지원금액 지급)

공단은 제2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른 지급신청에 대하여 재난적의료비를 지급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법 제14조제1항에 따라 지원금액을 지정계좌로 지급하여야 한다. 

제5조 (의료기관등에 직접지급 신청 등)

① 법 제10조제1항제1호 각 목의 의료기관 등(이하 “의료기관등”이라 한다)에 입원 중인 사람이 법 제14조제2항에 따라 그 입원한 의료기관등에 법 제14조제1항에 따른 지원금액(이하 “지원금액”이라 한다)을 직접 지급할 것을 공단에 신청하려는 경우에는 퇴원일 3일(신청인이 영 제7조제1항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7일) 전까지 별지 제4호서식의 의료기관등 직접 지급 및 재난적의료비 지원대상자 확인신청서에 제2조제2항 각 호의 서류(제2호의 서류 중 퇴원확인서 및 제4호의 서류는 제외한다)를 첨부하여 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개정 2021. 5. 7 .>

② 제1항에 따른 신청을 받은 경우 공단은 「전자정부법」 제36조제1항에 따른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다음 각 호의 서류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만, 신청인이 확인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서류를 첨부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23. 2. 1 .>

1. 주민등록표 등본 

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규칙」 제40조에 따른 수급자 증명서 

③ 제1항에 따른 신청을 받은 공단은 그 신청을 받은 날부터 3일(신청인이 영 제7조제1항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7일) 이내에 지원대상자 해당 여부를 확인하여 별지 제5호서식의 재난적의료비 지원대상자ㆍ지원비대상자 결정 통보서에 따라 그 결과를 신청인과 해당 의료기관등에 알려야 한다.  <개정 2021. 5. 7 .>

제6조 (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원금액 지급)

① 제5조제3항에 따라 지원대상자 해당 결정 통보를 받은 해당 의료기관등이 법 제14조제2항에 따라 공단으로부터 지원금액을 직접 지급받으려면 별지 제6호서식의 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요청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공단에 제출하여야 한다. 

1. 의료기관등의 계좌 사본 

2. 퇴원 확인서 

3. 그 밖에 재난적의료비 지급에 필요하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서류 

② 공단은 제1항에 따른 의료기관등의 지급 요청이 있으면 지체 없이 지원대상자 및 의료기관등에 별지 제6호의2서식 및 별지 제6호의3서식으로 재난적의료비 지원금액 등 지급 결정 내역을 통보해야 한다.  <개정 2023. 2. 1 .>

③ 공단은 제2항에 따라 통보한 후 의료기관등이 지정한 계좌로 지원금액을 지급해야 한다.  <신설 2023. 2. 1 .>

제7조 (부당이득금의 고지)

① 공단은 법 제17조에 따른 부당이득금(이하 “부당이득금”이라 한다)을 징수하려면 그 납부의무자에게 납부해야 하는 금액, 납부기한, 납부장소 등을 적은 문서로 고지하여야 한다. 

② 공단은 제1항에 따라 고지할 때에는 납부의무자에게 그 납부기한 10일 전까지 납입고지서를 발급하여야 한다. 

제8조 (부당이득금의 징수방법 등)

① 부당이득금을 납부하려는 자는 「국민건강보험법」 제79조의2제1항에 따른 보험료등납부대행기관(이하 “납부대행기관”이라 한다)을 통하여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이하 “신용카드등”으로 한다)으로 부당이득금을 납부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신용카드등으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경우에는 납부대행기관의 승인일을 납부일로 본다. 

③ 납부대행기관은 보험료등의 납부자로부터 보험료등의 납부를 대행하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④ 제3항에 따른 납부대행 수수료는 공단이 납부대행기관의 운영경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승인한다. 이 경우 납부대행 수수료는 납부해야하는 해당 부당이득금의 1천분의 10을 초과할 수 없다. 

⑤ 공단은 신용카드등에 의한 부당이득금의 납부에 필요한 사항을 정할 수 있다. 

⑥ 공단은 부당이득금을 60회 이내의 범위에서 분할하여 납부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납부의 고지 등 분할납부에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공단이 정한다. 

⑦ 공단이 징수하는 부당이득금에 10원 미만의 끝수가 있는 경우 10원 미만의 금액은 징수하지 아니한다. 

제9조 (연체금 징수 예외)

영 제14조제4항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부득이한 사유”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를 말한다. 

1. 전쟁 또는 사변으로 인하여 부당이득금을 체납한 경우 

2. 연체금의 금액이 2천원 미만인 경우 

3. 그 밖에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연체금을 징수하기 곤란한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제10조 (조사대상)

법 제22조제1항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자”란 지원대상자, 지원대상자가 속한 가구의 구성원, 요양기관 또는 의료급여기관을 말한다. 

제11조 (이의신청서 등)

① 영 제19조제1항에 따른 이의신청서는 별지 제7호서식과 같다. 

② 영 제19조제4항에 따른 결정서는 별지 제8호서식과 같다. 

제12조 (서류의 보존)

요양기관 또는 의료급여 기관 등은 법 제26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동안 보존하여야 한다. 

1. 「의료법」 제18조에 따른 처방전 및 「약사법」 제29조에 따른 처방전: 2년 

2. 「의료법」 제22조에 따른 진료기록부: 10년 

3. 「약사법」 제30조에 따른 조제기록부: 5년 

4.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제58조제1항제1호의 요양급여비용 심사청구서 및 요양급여비용 명세서: 요양급여가 끝난 날부터 5년 

5.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7조제1항 각 호에 따른 계산서 및 영수증: 요양급여가 끝난 날부터 5년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584호, 2018. 6. 29.>

이 규칙은 201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685호, 2019. 11. 15.>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서식 개정에 따른 경과조치) 이 규칙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라 제출한 지급신청서 및 지급요청서는 이 규칙에 따라 제출한 것으로 본다.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796호, 2021. 5. 7.>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853호, 2022. 1. 4.>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936호, 2023. 2. 1.>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23년 2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 통보에 관한 적용례) 제6조제2항ㆍ제3항, 별지 제6호의2서식 및 별지 제6호의3서식의 개정규정은 이 규칙 시행 전에 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을 요청하여 지급 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에도 적용한다.

부칙 <보건복지부령 제1040호, 2024. 7. 3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별지 제1호서식] 재난적의료비 지급신청서(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그 외 지원대상자)

  • [별지 제2호서식] 위임장

  • [별지 제3호서식] 재난적의료비(지급, 부지급) 결정 통보서

  • [별지 제4호서식] 의료기관 등 직접 지급 및 재난적의료비 지원대상자 확인 신청서(기초생활 수급자, 차상위계층, 그 외 지원대상자)

  • [별지 제5호서식] 재난적의료비(지원대상자, 지원비대상자) 결정 통보서

  • [별지 제6호서식] 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요청서

  • [별지 제6호의2서식] 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 결정 통보서(환자용)

  • [별지 제6호의3서식] 재난적의료비 직접 지급 결정 통보서(의료기관등 용)

  • [별지 제7호서식] 이의신청서

  • [별지 제8호서식] 이의신청 결정서

  • 검색
  • 맨위로
  • 페이지업
  • 페이지다운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